Chapter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1. 제품소프트웨어 패키징
개발이 완료된 제품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포장하는 과정
2. 사용자 중심의 포듈 패키징 프로세스
기능식별 → 모듈화 → 빌드진행 → 사용자 환경 분석 → 패키징 적용시험 → 패키징 변경 개선
3. 릴리즈노트 (Realease Note)
고객에게 개발 과정에서 정리된 제품의 릴리즈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
4. 릴리즈 노트 작성 프로세스
모듈 식별 → 릴리즈 정보 확인 → 릴리즈 노트 개요작성 → 영향도 체크 → 정식릴리즈 노트 작성 → 추가 개선 항목 식별
5. 패키징도구 활용시 고려사항
고려사항 | 설명 |
암호화/보안 고려 | 내부 컨텐츠에 대한 암호화 및 보안 고려 |
이기종 연동 고려 | 이기종 콘텐츠 및 단말기 간 DRM연동 고려 |
사용자 편의성 고려 | 사용자 입장에서 문제를 고려하여 최대한 효율적으로 적용 |
적합한 암호화 알고리즘 적용 | 제품 소프트웨어 종류에 맞는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배포시 범용성에 지장이 없도록 고려 |
6. 디지털 저작권 (DRM : Digital Rigth Manangement)
저작권자가 배포할 디지털 컨텐츠가 저작관자의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디지털 컨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
7. DRM의 구성요소
요소 | 설명 |
컨텐츠 제공자 | 컨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
컨텐츠 소비자 | 컨텐츠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주체 |
컨텐츠 분배자 | 암호화된 컨텐츠를 유통하는 곳이나 사람 |
클리어링 하우스 | 저작권에 대한 사용 권한, 라이선스 발급, 암호화된 키 관리, 사용량에 따른 결과 관리 수행 |
DRM 컨텐츠 | 서비스하고자 하는 암호화된 컨텐츠,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컨텐츠 사용정보 패키징 |
패키저 | 컨텐츠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단위로 묶는 도구 |
DRM컨트롤러 | 배포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 |
보안 컨테이너 | 원본 컨텐츠를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장치 |
8. 패키징 도구 세부 기술
기술 | 설명 |
암호화 | 컨텐츠 및 라이선스를 암호화하고 전자 서명을 할 수 있는 기술 |
키관리 | 컨텐츠를 암호화한 키에 대한 저장 및 분배 기술 |
암호화 파일 생성 | 암호화된 컨텐츠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 |
식별 기술 | 컨텐츠에 대한 식별 체계 표현 기술 |
저작권 표현 | 라이선스의 내용 표현 기술 |
정책 관리 |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에 대한 정책 및 관리 기술 |
크랙방지 | 크랙에 의한 컨텐츠 사용 방지 기술 |
인증 |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의 기준이 되는 사용자 인증 기술 |
Chapter2 제품 소프트웨어 매뉴얼 작성 및 버전 등록
1. 제품 소프트웨어 메뉴얼
사용자 측면에서 패키징 이후 설치, 제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주요 내용을 기록한 문서
2. 제품 소프트웨어 사용자 메뉴얼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사용에 필요한 내용을 포함한 문서
3. 제품 소프트웨어 배포본
자용자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배포 정보를 포함하여 개발된 컴포넌트 또는 패키지가 제품화된 형태
4. 백업 유형
유형 | 설명 |
전체 백업 | 백업 받고자 하는 데이터 전체에 대한 백업을 하는 방식 |
차등 백업 | 마지막 전체 백업 이후 변경된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식 |
증분 백업 | 정해진 시간을 기준으로 그 이후에 변경된 파일만을 백업하는 방식 |
'공부중인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SQL 응용 (TCL,DDL,DML 보충) (0) | 2022.07.19 |
---|---|
정보처리기사 중요도 & 공부흐름 스토리텔링 (2) | 2022.06.24 |
정보처리기사 실기 (10과목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0) | 2022.06.22 |
정보처리기사 실기(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0) | 2022.06.21 |
정보처리기사 실기(8과목 서버프로그램 구현) (0) | 2022.06.20 |